1994년 동계 올림픽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은 릴레함메르에서 열린 대회에 참가하여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오스트레일리아의 동계 올림픽 첫 메달을 안겼다. 쇼트트랙 외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봅슬레이, 크로스컨트리 스키, 피겨 스케이팅, 프리스타일 스키, 루지,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에도 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동계 올림픽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 - 1964년 동계 올림픽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 1964년 동계 올림픽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은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에 알파인 스키 선수들을 파견했으나, 로스 밀른 사망 사고 조사와 선수 경험 부족 논쟁이 있었다.
동계 올림픽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 - 1952년 동계 올림픽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 1952년 동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은 알파인 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피겨 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에 선수들을 파견하여 다양한 경기에 출전했다.
1994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 1994년 동계 올림픽 세네갈 선수단 1994년 동계 올림픽 세네갈 선수단은 릴레함메르에서 열린 대회에 라민 게예 선수 1명을 파견하여 남자 알파인 스키 활강 종목에 출전했으나 기권했으며, 게예는 이후 올림픽 자격 기준을 비판했다.
1994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 1994년 동계 올림픽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선수단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에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선수단은 봅슬레이 두 팀(2인승, 4인승), 루지 남자 1명과 여자 2명, 그리고 남자 알파인 스키 선수 1명이 참가했다.
준결승에서 오스트레일리아는 일본과 뉴질랜드를 꺾고 캐나다에 이어 결승에 진출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넘어지지 않기, 실격되지 않기, 다른 세 명의 결승 진출자 중 적어도 한 명을 꺾기라는 세 가지 목표를 가지고 결승에 진출했다. 45바퀴 중 21바퀴를 남겨두고 캐나다 선수가 옆으로 미끄러져 나가 경쟁에서 탈락했다. 12바퀴를 남겨두고 이탈리아의 미르코 빌레르민이 속도를 내면서 오스트레일리아가 금메달을 따내기 어렵게 간격을 벌렸다. 마지막 교대까지 오스트레일리아가 은메달을 딸 수도 있을 것 같았다. 니지엘스키는 마지막 스케이터였고, "마지막 교대에서 [미국] 에릭 플레임이 좋은 푸시 오프를 했고 내 발 밑으로 들어와 나를 멈춰 세웠습니다. 나는 그래, 이걸 위해 그와 싸울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팀을 실망시키고 싶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알베르빌에서 넘어졌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냥 통과해서 메달을 따고 싶었습니다."라고 말했다.[2]
오스트레일리아는 199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5000m 계주 종목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1] 이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첫 동계 올림픽 메달이었다.[2]
;남자
선수
종목
예선
준준결승
준결승
결승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스티븐 브래드버리
500m
45.43
2 Q
44.18
1 Q
1:03.51
4 QB
B 결승 45.33
8
1000m
2:01.89
3
진출 실패
24
키어런 핸슨(Kieran Hansen)
500m
46.30
3
진출 실패
23
1000m
1:32.96
2 Q
1:32.34
3
진출 실패
12
리처드 니지엘스키(Richard Nizielski)
500m
44.86
1 Q
45.57
4
진출 실패
10
1000m
1:32.42
2 Q
1:29.93
4
진출 실패
13
5000m 계주
스티븐 브래드버리, 키어런 핸슨(Kieran Hansen), 앤드루 머사(Andrew Murtha), 리처드 니지엘스키(Richard Nizielski)
colspan=4|
7:14.41
2 Q
7:13.68
;여자
선수
종목
예선
준준결승
준결승
결승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카렌 카(Karen Kah)
500m
48.56
2 Q
47.90
3
진출 실패
12
1000m
1:41.64
1 Q
1:39.93
4
진출 실패
11
남자 5000m 계주팀은 준결승에서 일본과 뉴질랜드를 꺾고 캐나다에 이어 2위로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45바퀴 중 21바퀴를 남겨두고 캐나다 선수가 미끄러져 탈락했고, 12바퀴를 남겨두고 이탈리아 선수가 속도를 내면서 오스트레일리아는 금메달 획득이 어려워졌다. 마지막 주자였던 리처드 니지엘스키는 마지막 교대에서 미국의 에릭 플레임에게 추월당할 위기에 처했지만, 팀을 실망시키지 않기 위해 무리하게 경쟁하지 않고 동메달을 획득하는 것을 선택했다고 밝혔다.[2]
3. 9.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종목
시간
순위
필립 타민지스
1000m
1:16.29
37
필립 타민지스
1500m
1:57.59
36
대니 카
1500m
1:56.04
25
대니 카
5000m
7:00.02
25
[2]
4.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 내용
오스트레일리아는 이 대회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에서 스티븐 브래드버리, 키어런 핸슨, 앤드루 머사, 리처드 니지엘스키가 동메달을 획득하여 동계 올림픽에서 호주 최초의 메달을 획득했다.[2]
계주 준결승에서 오스트레일리아는 일본과 뉴질랜드를 꺾고 캐나다에 이어 결승에 진출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넘어지지 않기, 실격되지 않기, 다른 세 결승 진출팀 중 적어도 한 팀을 꺾기라는 세 가지 목표를 가지고 결승에 임했다. 45바퀴 중 21바퀴를 남겨두고 캐나다 선수가 미끄러져 탈락했고, 12바퀴를 남겨두고는 이탈리아의 미르코 빌레르민이 속도를 내면서 오스트레일리아와 간격을 벌렸다. 마지막 교대까지 오스트레일리아는 은메달을 딸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마지막 주자였던 니지엘스키는 "[미국]의 에릭 플레임이 좋은 푸시 오프를 했고 내 발 밑으로 들어와 나를 멈춰 세웠습니다. 나는 그와 싸울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팀을 실망시키고 싶지 않았고, 알베르빌에서 넘어졌던 것을 잘 알고 있었기에, 그냥 통과해서 메달을 따고 싶었습니다."라고 회상했다. 팀 동료였던 스티븐 브래드버리는 2002년에 오스트레일리아의 첫 번째 동계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